15곳 중 8곳 학생회 꾸려져“예상 못했는데 정말 기뻐”선거 무산된 7곳은 보궐선거 일정 없어지난 25일 진행된 2026학년도 단과대 학생회 선거 결과 총 15개 단과대 중 △경영대 △농생대 △수의대 △약학대 △인문대 △자연대 6곳과 본부직할에 당선자가 나왔다. 이로써 지난 20일 투표를 진행한 사범대를 포함해 총 8곳에 2026년도 학생회가 꾸려졌다.단과대 중 유일하게 경선을 치른 인문대는 기호 2번 ‘사계’ 선거운동본부의 한정빈(중어중문·20)·문태석(철학·23)이 당선됐다. 총 유권자 1,296명 중 485명(37.42%)이
투표율 36.36%로 연장투표 없어“높은 찬성 투표율, 더 잘하겠다”지난 25일 열린 2026학년도 총학생회 선거에서 ‘그린’ 선거운동본부의 윤동규(생활복지·22)·김경서(유아교육·22) 단독 후보가 당선됐다. 총 유권자 15,087명 중 5,470명(36.36%)이 투표했으며, △찬성 84.48%(4,621표) △반대 8.12%(444표) △기권 7.40%(405표) 분포를 보였다.윤 정후보는 “투표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높은 찬성 투표율을 보고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부후보는 “높은 찬성 투표
법률가의 세 가지 덕목 '혼·창·통'"학벌보다 실력이 법률가 증명"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이 지난 13일 법학전문대학원 1호관 준공 기념 특강에서 “정치인은 정치를 하고 법률가는 법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정치와 사법의 분명한 역할 구분을 강조했다. 문 전 재판관은 이날 강연을 통해 정치·사법의 경계, 법률가에게 필요한 덕목, 학벌 중심 사회의 문제 등을 이야기했다.정치와 사법의 경계문 전 재판관은 정치인들이 법률가에게 간섭하거나, 반대로 법률가가 정치적 문제에 관여하려는 태도를 모두 비판했다. 그는 “정치의 본령은 민생 회복과 사
선관위 “유권자 관심 도모와 후보자 검증 위해 행사 준비”2026 총학생회(총학) 선거에 출마한 ‘그린’ 선거운동본부(선본)가 이행되지 못한 지난 3년간의 총학 공약 및 사업 중 △총학생회 여론조사 △자취 관련 안내(체크리스트, 가이드라인, 이사 청소비) △기숙사 룸메이트 매칭 제도를 ‘실현하고 싶은 공약’으로 뽑았다. 이어 △스쿨버스 개편 △졸업생 단톡방 개설 △학과 학생회 사업 공모를 ‘실현하지 않을 공약’으로 뽑았다.오늘(14일) 제1학생마루 소강당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진행한 ‘1차 추가 행사’가 진행됐다. 해당
CNU's Graduate School and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Foundation hosted the 2025 Yongbong Academic Festival from Nov. 4 to 6 at Minjumaru and Yongji Hall. The even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graduate students and early-career researchers to share their research findings and exchange ideas. T
The 55t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eneral Student Council (GSC) election will take place online on Nov. 25. As of Nov. 10, the Central Election Commission (CEC) has confirmed the GSC’s presidential and vice-presidential candidates for this uncontested election: Yun Dong-kyu (Senior, Dept. of Fami
Wit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NU) welcoming a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ensuring adequate welfare support has become essential for fostering an inclusive environment. Despite the university’s efforts to support its international students, many still struggle with everyday challenges tha
재발방지책 마련, 제도 개선 권고지난 7월 우리 대학에서 사망한 대학원생이 유서를 남긴 갑질 피해 주장 대부분이 사실인 것으로 '대학원생 사망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조사위)가 확인했다. 우리 대학은 이번 달 중 갑질 의혹 교수 2명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할 예정이다.우리 대학은 대학원생 사망 3일 뒤 조사위를 꾸려 갑질 여부를 조사해 왔다. 박상지 언론담당관은 "조사위가 사망한 대학원생이 유서에 적은 피해 내용의 99%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고인이 남긴 문자 유서에는 부당한 업무 지시와 사적 업무 지시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었다.현재
진상조사·인권실태조사 결과 공개 촉구"인권 유린하는 대학 되지 말아야"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광주전남지부 등 12개 시민사회단체가 유족과 함께 지난 6일 우리 대학 후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유족과 시민사회단체는 "대학원 연구실의 구조적 문제와 교수들의 갑질로 인한 대학원생의 비극적 죽음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했다.이들은 우리 대학에 네 가지를 강력히 촉구했다. 첫째, 진상조사보고서를 유족에게 공개하고 대학 차원의 책임을 인정하라. 둘째, 인권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피해사례 발견 시 엄정
추후 앱 업데이트 일자는 미정우리 대학 공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전남대스토어’가 오류 창이 뜨거나 모바일 학생증을 계속 새로고침 해야 하는 등 학 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이 지난달 28일 부터 지난 3일까지 ‘에브리타임’을 통해 우리 대학 학생들에게 앱 불편 사항에 대해 제보받은 결과, 9개 종류의 답변이 달렸다. 지적된 부분은 △테스트 화면 오류 △앱 실행 자체가 오래 걸리는 문제 △모바일 학생증 문제 △로그인 매번 초기화 △공지사항 좌우 스크롤 안 됨 △똑같은 공지 내용 수십 번 넘게 알림 △모바일 화면 축소·확
2층에서 6층 일부 면적 축소최근 개축한 우리 대학 인문대 2호관이 예산 한계와 공사비의 급등으로 인해 당초 계획했던 연면적보다 규모가 축소됐다. 시설과 관계자는 “예산 초과분을 교육부에 요청해 최종적으로 약 11억원이 증액된 137억 2천만원으로 사업을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급등한 공사비를 모두 충당하기 어려워 설계단계에서 공간 규모를 조정했다”고 말했다.인문대 2호관 개축 사업은 2022년 1월 교육부의 총사업비 심의를 거쳐 126억 2백만원으로 책정됐다. 그러나 설계 과정에서 공사비가 급등하며 예산이 초과했다. 공사비에는 △감
사흘 지나서야 조치 이뤄져“생활관 9동처럼 24시간 대응 원해”지난달 24일(금)부터 26일(일)까지 우리 대학 생활관 7동에서 난방과 온수 공급에 문제가 발생했으나, 주말 동안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생활관의 대응 공백이 드러났다. 해당 기간 동안 바닥 온도는 32도까지 올랐고 주말 내내 온수가 나오지 않았다. 거주 학생들은 생활관 홈페이지에 글을 올리고 시설관리팀을 직접 찾아가기도 했으나, 조치는 사흘이 지난 27일(월)에야 이루어졌다.생활관 7동에 거주하는 ㄱ(인공지능·25)씨는 “24일 오후 11시경 생활관에 들어왔는데 바닥은
의대, 내년 3월 보궐 선거 진행우리 대학 2026 총학생회(총학)·단과대·학과(부) 선거가 오는 25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까지 온라인 투표로 진행된다. 총학은 윤동규(생활복지·22) 정후보와 김경서(유아교육·22) 부후보가 단독 출마하며, 선거시행세칙 67조에 따라 1/3 이상 투표의 과반수 득표 해야 당선될 수 있다. 전체 유권자수 15,090명 중 5,030명 이상 투표해야 하는 것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중선관위)는 선거의 공정성과 참여율 제고를 위해 △후보자 공약 선호도 조사 △정책공청회 △개표 방송 등 일정을 순
“전남대 차별성 느낄 교육과정 도입 예정”국비 1천억‧광주시 직간접 1천2백억 지원우리 대학이 지난달 ‘글로컬대학30’(글로컬대학)에 최종 선정됨에 따라 인간 중심 AI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AI대 운영 경험을 대학 전체로 확산하는 AI 교육 모델 제시 △AI 융합교육 확산 위한 교수‧교육‧연구‧인프라 4대 혁신 △학과‧학부 모듈형 AX 교육과정 도입‧운영 △대학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생성형 AI 활용 능력 함양 등을 추진한다.실행계획서 작성 전반을 담당한 조성준 기획조정처장은 “전교생을 대상으로 양질의 AI 융합교육을 전면
이 총장 “예산 더 들더라도 친환경 주차장 만들어야”우리 대학이 광주캠퍼스(광주캠)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구역별 주차 공간을 확대한다. 지난 8월 1일부터 적용되고 있는 ‘광주캠퍼스 주차관리 개선방안’에 이어지는 대책이다. 앞서 개선방안에 따라 △주차요금 현실화(상향) △전일제‧비전일제 주차권 구분 △할인권 시간‧요금 변경 등이 시행됐지만 여전히 주차 자리는 부족하다.지난달 24일 대학 본부 용봉홀에서 열린 제10회 수요공청회에서 총무과는 광주캠 주차관리 개선 현황 및 향후 대책에 대해 발표했다. 담당자는 “정기주차권 대비 주차구
다음달 비자 만료로 보험금 수령도 어려워뇌출혈로 쓰러져 뇌사 상태에 빠진 우리 대학 태국인 언어교육원(언교원)생 시리냐씨를 위한 모금이 진행되고 있다. 그는 한국어를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에 지난해 9월 우리 대학을 찾았지만 예상치 못한 뇌출혈을 맞이했다. 그러나 경제적 형편이 어려워 병원비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지난 7월 21일, 언교원은 시리냐씨가 며칠 연속으로 수업에 결석하고 연락마저 닿지 않자 같은 국적 유학생에게 시리냐씨가 머무는 고시텔에 방문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리냐씨는 의식이 없는 상태로 방에 쓰러져 있던 채 발견
지도교수, 이번 학기 수업 자진 하차지난 7월 우리 대학에서 사망한 대학원생 사건 관련 갑질 의혹을 받고 있는 두 교수가 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한 명은 경찰에 입건됐고, 한 명은 수업에서 자진 하차했다.광주경찰청 반부패범죄수사대는 우리 대학 대학원생 사망 사건과 관련해 ㄱ 연구 교수를 지난 16일 피의자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은 ㄱ 교수에게 강요 혐의를 적용해 수사 중이다. 자세한 사건 경위에 대해서는 "공보규정상 수사 중인 사건에 대해 말할 수 없다"고 광주경찰청 관계자가 말했다.한편 ㄱ 교수와 함께 갑질 가해자로 거론된
“정부 추가경정에서 감액 결정”올해 하반기 근로장학 예산 미지급 가능성의 원인이 전국 대학의 근로장학 예산 집행률 저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학기 국가 근로장학 근로 시간이 40시간이었던 우리 대학은 하반기 예산이 미지급될 상황에 놓이자 25시간으로 운영 중이었다. 당시 학생과는 “지급받은 예산 규모에 따라 근로 인원과 근로 시간을 결정한다”며 “국가 근로는 한국장학재단이 주는 예산으로만 운영하기에 예산이 배정되지 않으면 집행할 수 없다”고 말했었다.
공연법상 신고는 14일 전에 해야△간호대 △공과대 △예술대 △자연대가 지난 11일 개최한 연합축제 ‘NE:ON’에서 예정됐던 가수 공연이 북구청에 사전 신고되지 않아 무산됐다.4개 단과대 학생회로 구성된 연합축제준비위원회(연합축준위)와 4개 단과대 학장단은 지난 7월 초부터 축제 기획과 안전관리계획을 위한 사전 조율을 진행했다. 초기 준비 과정에서 가수 공연을 추진했으나 공연 부지 협소와 안전 확보 문제 등으로 인해 합의된 축제 기획안에서는 가수 공연이 포함되지 않았다. 공과대 교직원은 “공과대 시계탑 일대는 가수 공연을 소화하기에
“무대 라인업 기대해도 좋아”학생회비 납부자 전용 관람 구역 신설“마스코트 ‘전룡이’ 각인되길”2025 용봉대동풀이(축제)가 ‘용비봉무’라는 이름으로 오는 29일과 30일 이틀간 △대운동장 △5‧18광장(봉지) △민주마루 △용봉관 △후문 일대에서 열린다. 축제준비위원장을 맡은 신승환(고분자융합소재공학‧19) 총학생회장은 “축제 준비는 7-80% 정도 완료됐다”며 “사전 준비는 거의 끝났고, 남은 것은 축제 당일에 이뤄질 안전 관리 등이다”고 말했다.축제준비위원회(축준위)가 이번 축제에서 가장 신경 쓴 부분은 무대와 연예인 섭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