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주차권 대비 주차 구역 843곳 부족

이 총장 “예산 더 들더라도 친환경 주차장 만들어야”

총무과 관계자가 지난달 24일 수요공청회에서 주차난 개선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총무과 관계자가 지난달 24일 수요공청회에서 주차난 개선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우리 대학이 광주캠퍼스(광주캠)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구역별 주차 공간을 확대한다. 지난 8월 1일부터 적용되고 있는 ‘광주캠퍼스 주차관리 개선방안’에 이어지는 대책이다. 앞서 개선방안에 따라 △주차요금 현실화(상향) △전일제‧비전일제 주차권 구분 △할인권 시간‧요금 변경 등이 시행됐지만 여전히 주차 자리는 부족하다.

지난달 24일 대학 본부 용봉홀에서 열린 제10회 수요공청회에서 총무과는 광주캠 주차관리 개선 현황 및 향후 대책에 대해 발표했다. 담당자는 “정기주차권 대비 주차구역이 843곳 부족한 상황”이라며 “광주캠 6곳에 주차 공간 확보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기준 광주캠 주차 면적이 약 2,970면인 것에 비해 학내 구성원 정기주차권은 3,813개였다.

총무과 발표에 따르면 작년 9월 첫째 주와 올해 9월 첫째 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기 출차 △일반 출차 △30분 내 출차 등 전체 출차가 208회 줄었다. 정기주차권도 지난 5월 대비 9월 1,043개 줄었다. 그러나 △경영대 △공과대 △사회대 △자연대 등 구역은 여전히 정기주차권 대비 주차구역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주차장 후보지로 △자연대 1호관 뒤 △예술대 1호관~교육융합관 사이 △산학협력2호관 앞 △진리관 옆 △교융융합관~인문대 2호관 사이 △제2학생마루 뒤를 계획하고 있다. 해당 부지들에 올해 말까지 주차장을 구축해 약 200대의 차량이 추가로 주차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총무과 담당자는 “10월 중 법학전문대학원 1호관과 인문대 2호관 완공 후 주차난이 일부 해소될 것도 예상된다”며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주차 수요 대비 공급을 분석해 부족한 주차장을 추가 확보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공청회에서 이근배 총장은 ‘친환경 주차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장은 “돈을 더 들이더라도 친환경으로 주차장을 만들어야 한다”며 “후세에 아름다운 전남대 캠퍼스를 물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주차빌딩을 세우면 예산은 줄겠지만 캠퍼스 경관을 매우 해치게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구역별 주차 공간 후보지.
구역별 주차 공간 후보지.

 

저작권자 © 전남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