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내용 99% 입증" '대학원생 갑질 교수' 징계위 회부 예정
우리 대학 "징계 절차 서두르겠다"
재발방지책 마련, 제도 개선 권고
지난 7월 우리 대학에서 사망한 대학원생이 유서를 남긴 갑질 피해 주장 대부분이 사실인 것으로 '대학원생 사망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조사위)가 확인했다. 우리 대학은 이번 달 중 갑질 의혹 교수 2명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할 예정이다.
우리 대학은 대학원생 사망 3일 뒤 조사위를 꾸려 갑질 여부를 조사해 왔다. 박상지 언론담당관은 "조사위가 사망한 대학원생이 유서에 적은 피해 내용의 99%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고인이 남긴 문자 유서에는 부당한 업무 지시와 사적 업무 지시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었다.
현재 두 교수는 지난 9월과 10월 각각 강요 및 직권남용 혐의로 형사 입건돼 경찰 수사를 받고있다. 광주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에 따르면 ㄱ 지도교수는 지난달 21일 직권남용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경찰은 ㄱ 교수가 학생 연구비 일부를 회수해 고인의 동정으로 보관·관리하도록 강요했고,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외부인을 논문의 공동 저자로 넣도록 한 혐의를 수사 중이다. ㄱ 교수가 고인에게 법률상 의무가 아닌 일을 하도록 시켜 직권남용 혐의가 적용된 것이다.
ㄴ 연구교수는 지난 9월 강요 혐의로 입건됐다. 고인의 유족은 "연구교수가 형에게 전화로도, 카톡으로도 자기 연구실 업무를 네가 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취직을 하더라도 이 일은 네가 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 있다" 고 말했다.
조사위는 조사 내용이 담긴 결과 보고서를 작성했지만 당분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박 담당관은 "결과 보고서에 고인과 갑질 의혹 교수 2명, 조사 과정에서 증인들 등은 학생들의 개인정보가 다수 포함돼 있다"며 공개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 또 "더 중요한 이유는 현시점에서 결과 보고서가 외부에 공개되면 수사나 재판 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우리 대학은 지난달 30일 ㄱ 교수의 직위를 해제했다. ㄴ 교수는 비전임교원으로 직위해제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업무 배제 조치만 취한 상태다. ㄴ 교수의 계약기간이 오는 12월 31일에 종료되는 만큼 우리 대학은 계약 만료 전에 징계 절차를 서두르겠다는 입장이다.
조사위는 △대학원혁신본부 △연구처 △인권센터 △학생생활상담센터에 제도 개선 및 재발 방지책 마련을 권고한 상태다.
주정민 대학원혁신본부장은 "구성원들에게 대학원생 권리장전을 배포했다"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 도움받을 수 있는 안내문을 연구실과 실험실 등에 부착할 것을 계획 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처에 학생 연구자 연구비 실태조사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학생생활상담센터는 '먼저 다가가는 상담'을 재발방지책의 일환으로 내세웠다. 정주리 학생생활상담센터장은 "대학원생 전체를 대상으로 마음건강 심리진단을 실시해 고위험군과 위험군을 발굴하고 고위험군에게는 전화로, 위험군에게는 문자로 먼저 상담을 제안하는 맞춤형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해 지속 운영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연구처는 '전남대학교 학생 연구자 지원 규정'에 따라 학생 연구 활동, 인건비 지급 등에 대한 점검 보고서를 연 1회 작성해 왔다. 장규필 연구부처장은 "이번 사건을 통해 앞으로는 더욱 면밀히 연구 실태를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인권센터 관계자는 "재발방지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